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11강, 주식 아가방 #겸손은힘들다

📌 주가 급락에도 흔들리지 않는 '주린이'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할 핵심 지표는 무엇인가? 주가 급락에도 흔들리지 않는 '주린이'가 되기 위해서는 PBR(주가 순자산 비율)과 PER(주가 수익 비율)이라는 핵심 지표를 이해하고 활용 해야 합니다 💡 PBR과 PER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지표의미기준PBR회사의 총자산 대비 주가 수준을 나타내며, 현재 가치에 가깝습니다1 이하 저평가, 1 이상 미래가치 선반영PER회사의 연간 수익 대비 주가 수준을 나타내며, 미래 가치에 가깝습니다10이하 저평가 📌 주가 급락에도 흔들리지 않는 '주린이'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할 핵심 지표는 무엇인가? 주식 초보자를 위한 실전 투자 감각을 길러주는 이 콘텐츠는, 막연했던 주식 투자의 개념을 명확한 가치 판단 기준으로 바..

Always carry hope. 2025. 10. 2. 11:19
10강, 주식 아가방 #겸손은힘들다

📌 주식 투자를 할 때 투자 일지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투자 일지를 작성하면 시장을 보는 눈이 생기고, 자신이 했던 행동들을 잊어버리지 않아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며, 인과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 입니다💡 투자 일지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요?주식을 왜 사는지 그 이유팔 계획인 손절매 가격주가 상승과 하락 이유 분석주식을 팔 때 파는 이유 이 콘텐츠는 초보 투자자가 주식 투자 실력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시장 전체를 쫓는 ETF를 넘어, 특정 섹터 ETF를 활용해 개별 종목 발굴의 다리를 놓는 법을 실제 사례를 통해 설명합니다. 더 나아가, 투자 일지 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주가 상승/하락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는 ..

Always carry hope. 2025. 9. 28. 18:54
9강, 주식 아가방 #겸손은힘들다

이 콘텐츠는 주식 투자 초보자를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올바른 투자 심리와 생활 속 재테크 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주식 시장의 비정상적인 상황을 인지하고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전문가들의 통찰은 독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투자 철학을 제시합니다. 막연한 공부 대신 필요한 부분을 찾아 학습하는 방식과 소수 종목에 집중하는 전략, 그리고 손실에 대한 담대한 마음가짐 등은 초보 투자자들이 흔히 겪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지속 가능한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실용적인 조언이 될 것입니다. 1.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과 주식 시장의 정상화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 필요성: 금융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 전환의 핵심은 주식 시장을 정상..

Always carry hope. 2025. 9. 28. 18:41
1강, 주식 아가방 #겸손은힘들다

‘주아가’ 1강은 **“지금 왜 주식 투자해야 하는가”**와 **“비싼 주식·싼 주식 구분 기준(PBR)”**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왜 지금 주식 투자를 해야 하는가 한국 주식 시장의 저평가 해소 시점과거 기업들이 이익을 쌓아두고 배당을 하지 않아 PBR이 낮았지만,이제 배당 활성화 정책으로 주주들에게 이익이 돌아갈 가능성이 커짐. 이재명 대통령 시대 정책 변화기업 배당 확대, 투자자 친화 정책 → 주가 상승 여력 증가. 광순회 복덕방 비유과거의 이익을 누적만 하던 회사가 이제 배당을 풀기 시작하는 시점에 주주가 되면,기다림 없이 과거 누적 이익을 함께 받을 수 있음. 2. 비싼 주식과 싼 주식을 구분하는 기준 가격이 아닌 가치 평가단순히 주가가 487원이라고 싸다고 볼 수 없음.→ 가치가 3..

Always carry hope. 2025. 8. 13. 22:31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닉네임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